새로운 갤럭시 Z 시리즈가 공개되었습니다. 줄곧 아이폰을 사용하다 보니 조금 실증이 생겼습니다. 아이폰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안드로이드 폰을 터무니없는 가격에 긴 약정기간까지 흔히 말하는 호구가 된 다음 정이 떨어져서 아이폰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벌써 두 번째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통신사를 통해서 구입하고 선택 약정 할인을 받았고 두 번째는 공홈에서 구입해서 지금 까지 알뜰 요금제를 가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맥북까지 구입했지만 잘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아이패드, 애플 워치 등등 사고 싶은 제품은 많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다 보니 구입하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아이폰을 처음 사용할 때는 낯설고 불편했지만 어느덧 안드로이드 폰 사용법도 모를 정도로 아이폰에 익숙해져 버렸습니다. 최근 새롭게 출시되는 안드로이드 폰 특히 삼성 갤럭시 폰을 보며 다시 한번 안드로이드 폰으로 기변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된 Z 플립은 더욱 그런 마음을 굳히게 만듭니다. 안드로이드 편의성은 익히 알고 있고 폴더블 폰의 등장으로 기존 바 형태가 아닌 접히는 폴더 형태의 폰으로 진화했습니다. Z 3 시리즈는 가격도 기존 대비 저렴해지고 다양한 액세서리와 성능 향상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얻고 있습니다. 

 

아이폰의 단점이라고 불리는 통화 녹음, 페이 부제는 실사용에 크게 불편함을 못 느끼고 있습니다. 전화는 평소 많이 하지 않고 결제는 머니 클립에서 하나의 체크카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갤럭시로 변경을 한다면 삼성 페이를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해 보입니다. 

 

편의성은 최근에 케이블로 스마트폰을 연결해서 파일을 주고받고 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공인인증서의 경우 아이폰은 모든 앱마다 내려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는 하나의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모든 앱에서 접근할 수 있으니 편리합니다. 

아이폰의 장점은 애플의 폐쇄성에 따른 앱 간의 통일성이 있어 디자인 측면이나 사용성에 있어 편리합니다. 기기가 규격화되어 있다 보니 앱의 최적화가 잘되어 있습니다. 아이폰은 버전, 기기 파편화로 앱 최적화 또는 OS 지원에 있어 불편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갤럭시 안드로이드 이용자가 많다 보니 대부분 앱은 안드로이드 갤럭시 폰에 대응을 잘해주고 있습니다. 신규 서비스도 안드로이드 버전부터 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하게 모르겠지만 애플 스토어 정책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일부 애플 앱의 경우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서비스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장에 스마트폰을 변경할 생각은 없고 다음 시리즈 갤럭시 S 22가 나오면 스펙도 비교해 보고 한번 도전해 볼 생각이 있습니다. 120hz 주사율의 디스플레이도 갤럭시 시리즈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아직 구입도 하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을 내비게이션 용도로 자주 사용하는데 폴더블 폰을 사용하면 조금 불편하지 않을까라는 우려스러움도 있습니다. 

 

유튜버들의 리뷰를 보면서 대리만족을 하면 지켜보고 있습니다. 최근 사전 예약 이벤트로 다양한 할인과 사은품으로 약간 마음이 흔들리긴 했습니다.